코딩하는 크롱

코딩하는 크롱

  • 분류 전체보기 (53)
    • JavaScript (6)
    • React (5)
    • TypeScript (1)
    • 코딩테스트 (14)
    • 알고리즘 (8)
    • 블록체인 (2)
    • 회고록 (0)
    • Network (1)
    • 배움 일기 (3)
    • 사이드 프로젝트 (0)
    • Next (2)
    • Node (1)
    • React-native (8)
    • Flutter (0)
    • 컨퍼런스, 특강 (2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github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코딩하는 크롱

컨텐츠 검색

태그

이더리움 캐싱이란 react-native Next.js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js React node-module reactnativeide 코딩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프론트엔드 react-native-dotenv 리액트네이티브 개발자 코딩기초 개발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기초(1)

  • 동적 타입 언어와 정적 타입 언어

    동적 타입 언어와 정적 타입 언어 (22.02.16 작성) C 나 JAVA 는 정적 타입 언어 이다.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값의 종류, 즉 데이터 타입을 사전에 선언해야 한다. 이를 명시적 타입 선언 이라 한다. 정적 타입 언어는 변수의 타입을 변경할 수 없다. 변수에 선언한 타입에 맞는 값만 할당할 수 있다. 정적 타입 언어는 컴파일 시점에 타입 체크 (선언한 데이터 타입에 맞는 값을 할당했는지 검사하는 처리) 를 수행 한다. 타입 체크를 통과하지 못했다면 에러를 발생 시키고 프로그램의 실행 자체를 막는다. 타입의 일관성을 강제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코드의 구현을 통해 런타임에 발생하는 에러를 줄인다. 즉 매우 번거롭지만 안정적인 코드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소리이다. 대표적인 정적 타..

    2023.06.05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